콘텐츠로 건너뛰기

Interstellar Group

CFD는 레버리지 특성으로 인해 빠른 손실 위험이 높은 복잡한 금융 거래 상품입니다.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는 CFD를 거래할 때 돈을 잃습니다. 사용자는 CFD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완전히 이해하고 재정적 손실의 높은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선 기자 =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이 상승했다. 해외브로커들은 2일 달러-원 1개월물이 지난밤 1,330.00원(MID)에 최종 호가됐다고 전했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2.15원)를 고려하면 전장 서울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331.50원) 대비 0.65원 오른 셈이다. 다만 간밤에는 달러가 약해지며 전일 뉴욕장 NDF 종가(1,333.50원) 대비로는 3.50원 반락했다. 매수 호가(BID)는 1,329.90원, 매도 호가(ASK)는 1,330.10원이었다. 미국 2월 제조업구매관리자 지수(PMI)와 미시간대 소비심리가 예상보다 둔화하며 달러가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 인덱스는 103.85선으로 내렸다. 미 국채 금리도 하락했다. 2년물 금리는 8.9bp 급락했다. 뉴욕증시는 상승했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2021년 11월에 기록한 장중 역대 최고치도 넘어섰다. 달러-엔 환율은 전장 서울환시 마감 무렵 150.410엔에서 150.130엔으로 내렸고, 유로-달러 환율은 1.08400달러를 나타냈다. 달러-위안(CNH) 환율은 7.2093위안을 기록했다. kslee2

25

2024-01

[亞증시-종합] 中 지준율 인하 호재에 상승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25일 아시아 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중국인민은행(PBOC)의 지급준비율(Reserve Requirement Ratio·RRR) 인하와 당국의 부양책 카드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 중국 = 25일 중국증시의 주요 지수는 지급준비율(Reserve Requirement Ratio·RRR) 인하와 당국의 부양책 카드에 2∼3%대 급등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85.34포인트(3.03%) 급등한 2,906.11에, 선전종합지수는 43.12포인트(2.62%) 상승한 1,689.98에 장을 마쳤다. 중국 증시는 당국의 부양 의지를 확인한 데 따라 크게 환호했다. 상하이 지수는 장중 3%대까지 상승폭을 키웠으며 2,906.79까지 오르기도 했다. 마감가 기준으로 지난 5일 이후 약 3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일 판궁성 PBOC 총재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내달 5일부터 은행 지준율을 50bp 인하할 것"이라며 "이로써 1조위안의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BOC의 지준율 인하는 지난해 9월(25bp 인하) 이후 처음이다. 당시 인하 이후 중국 금융권의 가중평균 지준율은 약 7.4%, 대형 상업은행은 10.5% 수준을 나타냈다. 주요 지수가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한 만큼 당국발 증시 안정 메시지가 전해지자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 장중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됐다. 역내 위안화는 절상 고시됐다. 인민은행은 이날 오전 달러-위안 거래 기준환율을 전장대비 0.0009위안(0.01%)내린 7.1044위안에 고시했다. 상하이 지수에선 다양한 금융 서비스 부문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IT 서비스 부문이 부진했다. 한편 이날 인민은행은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4천660억 위안 규모로 매입했다. ◇ 홍콩 = 항셍 지수는 전장 대비 312.09포인트(1.96%) 상승한 16,211.96에, 항셍H 지수는 115.66포인트(2.16%) 오른 5,468.71에 장을 마쳤다. ◇ 일본 = 25일 도쿄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반도체주 매수세에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연합인포맥스 세계주가지수(화면번호 6511)에 따르면 이날 대형 수출주 중심인 닛케이225 지수는 전 영업일보다 9.99포인트(0.03%) 오른 36,236.47에 장을 마감했다. 도쿄증시 1부에 상장한 종목 주가를 모두 반영한 토픽스 지수는 전 영업일보다 2.70포인트(0.11%) 상승한 2,531.92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두 지수는 장중 대체로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장 마감 무렵 반도체 관련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했다.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 주가지수 선물이 소폭 상승했다는 점도 지수 반등 요인으로 작용했다. 닛케이지수는 전일 마감가 기준 14일 평균 RSI(상대 강세 지수)가 79.85%로 기준인 70%를 웃돌고 있어 과매수 신호를 보인 영향으로 장중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다. 픽테 재팬의 다나카 준페이 전략가는 "일본과 미국의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전 차익실현 매도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제약, 에너지, 서비스 부문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고 철강, 운송 부문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외환 시장에서 한국 시각으로 오후 3시 16분 기준 달러 지수는 전장 대비 0.03% 상승한 103.338을 나타냈다. 달러-엔 환율은 전장 대비 0.17% 오른 147.851엔에 거래됐다. ◇ 대만 = 25일 대만증시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전장 대비 126.79포인트(0.71%) 오른 18,002.62에 장을 마쳤다. 가권지수는 장중 내내 상승세를 유지했다. 인공지능(AI) 열풍에 의한 수요로 반도체 업황 회복이 기대되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장세에 상승 재료로 작용했다. 특히 반도체 섹터는 전일대비 1.89% 상승하여 지수 오름세를 주도했다. 주요 종목 가운데 TSMC와 미디어텍은 각각 2.39%, 0.75% 상승했다. 오후 2시 47분 기준 달러-대만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0.03% 오른 31.314 대만달러에 거래됐다. 달러-대만달러 환율 상승은 달러 대비 대만달러 가치의 하락을 의미한다.

25

2024-01

2월 통안채 9조 발행 계획…전월 대비 2조 줄어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정현 기자 = 한국은행이 2월 통화안정증권을 9조원 수준으로 발행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달 발행 계획에 비해 2조 원가량 축소된 규모다. 91일물이 1조 원 줄었고, 2년물은 5천억 원 줄었다. 3년물은 3천억 원 줄었다. 모집은 2천억 원 감소했다. 경쟁입찰 발행 계획 규모는 8조 원이고, 모집은 8천억~1조 원 규모로 예정돼 있다. 통안증권 발행계획은 공개시장 운영 여건과 채권시장 상황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한국은행  jhkim7

25

2024-01

‘현금부자’ 현대차·기아, 역대 최대 실적에 빚 줄이고 곳간 채워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사상 최대 실적 행진을 이어가는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현금 유동성을 차곡차곡 쌓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 투자를 차질 없이 수행하는 가운데 재무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차입금 축소 기조를 이어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의 작년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규모는 19조1천670원으로 2022년 말보다 8.1% 줄었다. 내부 유동성이 소폭 감소했지만, 현대차는 올해 양산 차종 수 증가, 미국 조지아 신공장 건설 본격화 및 지속적인 미래 기술력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 4조9천억원 ▲설비투자(CAPEX) 5조6천억원 ▲전략투자 1조9천억원 등 총 12조4천억원을 투자한다. 기아의 작년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단기매도가능금융자산 등의 규모는 20조5천33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조1천35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차입금 규모는 3조8천억원으로 절반가량 감소했다. 이에 순현금은 16조7천330억원으로 4조8천80억원 늘었고 부채비율은 73.2%로 14.2%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는 만기도래하는 회사채를 모두 현금 상환한 바 있다. 올해도 현대차는 내달 9일 1천500억원, 기아는 오는 2월과 3월에 1천600억원과 1천억원의 만기도래 물량을 가지고 있지만, 현금으로 상환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15조1천269억원과 11조6천79억원의 영업이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54%, 61% 급증한 수치다. 두 회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27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14년 연속 상장사 영업익 1위였던 삼성전자를 제치고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기아의 호실적에는 북미·유럽 등의 판매 증가와 고수익 차량 중심에 따른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421만6천898대를 판매한 현대차의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비중은 53.9%에 달했으며 제네시스를 포함할 경우 57.1%로 상승했다. 친환경차의 경우 지난해 69만5천대를 팔아 전년 동기보다 24.7% 늘렸다. 하이브리드차량(HEV) 비중이 전체 판매대수 가운데 8.9%, 전기차(EV)가 6.4%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보다 2.7%p, 1.1%p 상승했다. 지난해 기아의 HEV도 전년 대비 20.8% 증가한 30만6천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는 15.5% 늘어난 8만8천대 판매됐다. EV도 15.3% 증가한 18만2천대 팔려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19.1%로 상승했다.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작년 총 판매대수는 730만2천451대로 2022년에 이어 글로벌 3위 자리를 지켰다. 이러한 실적 호조와 재무 안전성을 바탕으로 신용등급 'AA+'인 현대차가 최고등급 'AAA'로 5년 만에 복귀할 수 있는 청신호가 켜졌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작년 12월 현대차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현대차는 지난 2019년 말 글로벌 수요 부진에 따라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는 이유로 신용등급이 'AA+'로 한단계 강등된 바 있다. 또한,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현대차와 기아의 수익성 개선을 이유로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신용등급은 'BBB+'를 유지했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미국 내 신규공장 건설과 기술 관련 투자로 설비투자(CAPEX) 규모가 늘어나겠지만, 내년까지 연간 15조원 안팎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할 것으로 S&P는 관측했다. 현대차·기아 사옥 [현대차그룹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yglee2  

25

2024-01

현대차, 작년 영업익 15.1조·54%↑…1년 만에 최대 기록 경신(종합)

올해 12조4천억 투자 계획…작년 총배당 주당 1만1천400원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와 친환경차,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증가 등에 힘입어 1년 만에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현대차는 작년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54.0% 증가한 15조1천26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14.4% 늘어난 162조6천636억원, 당기순이익은 53.7% 증가한 12조2천723억원을 나타냈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 2022년 142조5천275억원의 매출액과 9조8천198억원의 영업이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1년 만에 기록을 경신하며 시장 예상치와 유사한 실적을 거뒀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한 달간 주요 증권사의 실적 전망치를 집계한 컨센서스(화면 8031)에 따르면 현대차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62조5천951억원과 15조3천580억원으로 추정됐다. 작년 연간 판매대수는 421만6천898대로 집계됐으며 SUV차급이 53.9%의 비중을 나타냈다. 제네시스를 포함할 경우 SUV 비중은 57.1%로 높아졌다. 특히 친환경차의 경우 지난해 69만5천대를 팔아 전년 동기보다 24.7% 늘었다. 하이브리드차량(HEV) 비중이 전체 판매대수 가운데 8.9%, 전기차(EV)가 6.4%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보다 2.7%포인트(p), 1.1%p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북미와 유럽, 국내에서 지난해 90만6천대와 63만6천대, 76만2천대를 팔아 성장세를 이어갔다. 현대차의 작년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41조6천692억원과 3조4천7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3%와 0.2% 증가했다. 판매대수 증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등에 힘입어 8.2%의 영업이익률을 거뒀다. 4분기 글로벌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4.9% 증가한 108만9천862대로 북미, 유럽, 인도 등 주요 지역의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2023년 4분기 달러-원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2.8% 하락한 1천321원을 기록했다. 4분기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보다 0.3%p 오른 80.0%, 판매 관리비 비율은 0.4%p 높아진 11.9%를 나타냈다. 현대차는 향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친환경차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현대차는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글로벌 인지도 제고 및 '디 올 뉴 싼타페' 등 하이브리드 라인업 지속 강화를 통한 친환경차 판매 확대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한 판매 최대화 ▲볼륨 차종인 투싼, G80의 부분변경 모델을 앞세운 SUV,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등의 전략으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편, 현대차는 2024년 연결기준 연간 가이던스를 통해 도매판매 목표를 2023년보다 0.6% 증가한 424만대로 설정했다.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전년 대비 4.0~5.0%로,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8.0~9.0%로 세웠다. 현대차는 글로벌 수요 위축, 환율 변동성 등 여러 대외 경영 환경 악화에도 지속적인 믹스 개선과 원가 혁신을 통해 목표 달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현대차는 올해 ▲연구개발(R&D) 투자 4조9천억원 ▲설비투자(CAPEX) 5조6천억원 ▲전략투자 1조9천억원 등 총 12조4천억원을 투자한다. 현대차는 실적 호조를 반영해 2023년 기말 배당금을 주당 8천400원으로 결정했다. 이에 2023년 연간 배당은 2·3분기 배당 합계 3천원(2개 분기 각 1천500원)을 포함해 전년 대비 63% 증가한 주당 1만1천400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지난해 발표한 3개년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중 하나인 배당성향 25% 이상 설정에 의거한 배당액으로 역대 최대 배당액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향후에도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신년사하는 정의선 회장(광명=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3일 오전 경기도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2024년 신년회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2024.1.3 yatoya yglee2

25

2024-01

현대차 "3년간 매년 ‘지분 1%’씩 자사주 소각"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현대자동차가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다시 한번 약속했다. 현대차는 25일 2023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5%의 배당 성향을 계속해서 유지할 것"이라며 "(전체 지분 4% 수준의) 자사주를 매년 1%씩 3년간 소각하는 약속도 지속한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현재 전체 지분의 4%를 조금 넘는 수준의 자사주를 보유 중이다. 1% 소각하는 데 4천억원가량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차는 "3년간 3% 소각을 완료하면 남는 자사주가 1% 수준인데 중간이라도 자사주 매입을 계속 검토하겠다"며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 끝까지 지킬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올해 4월 이내 자사주 소각을 이행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앞서 작년 4월 배당성향 연간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 기준 25% 이상, 배당 주기 연 4차례로 확대, 향후 3년에 걸쳐 보유 중인 자사주를 매년 1%씩 소각한다는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현대차는 실적 호조를 반영해 2023년 기말 배당금을 주당 8천400원으로 결정했다. 이에 2023년 연간 배당은 2·3분기 배당 합계 3천원(2개 분기 각 1천500원)을 포함해 전년 대비 63% 증가한 주당 1만1천400원으로 책정됐다. 또한, 현대차는 올해 전기차 판매 목표를 전년 동기보다 12% 증가한 30만대로 설정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올해 약 28% 성장한 48만대로 예상했다. 이는 현대차 전체 매출의 11% 수준이다. 현대차는 우호적인 환율 영향도 기대했다. 현대차는 "사업 계획 환율이 1천270원으로 전년 대비 낮은 수준으로 예측했지만, 올 초 환율이 1천320원대에서 등락하고 있어 우호적인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내다봤다. 나란히 최대실적 쓴 현대차ㆍ기아(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국내 완성차 1·2위이자 형제기업인 현대차와 기아의 지난해 합산 영업이익이 26조7천348억원을 기록하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사진은 25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차ㆍ기아 본사. 2024.1.25 kjhpress yglee2

25

2024-01

30일부터 10조 규모 보금자리론 공급…금리 4.2~4.5%

연소득 7천만·주택가격 6억원 이하 대상…우대금리 최대 100bp 커버드본드 발행 여건 대폭 개선…예대율 상향 검토   50년 만기 주담대 한도 줄이고 특례보금자리론 기준 강화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금융위원회가 13일 '가계부채 현황 점검 회의'를 열고 가계대출 급증 원인으로 지목되는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관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만기를 최장 40년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과잉 대출의 여지가 있는 특례보금자리론 기준도 강화돼 일반형 상품 지원 대상자와 일시적 2주택자는 신청자격에서 제외된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주택담보대출 및 특례보금자리론 관련 현수막. 2023.9.13 dwise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 공급을 종료하고 정책모기지를 보금자리론으로 개편한다.   특례보금자리론 도입 당시의 경제·금융여건과 달리 최근 금리인하 기대감 등도 나오고 있는 만큼, 정책모기지를 개편해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고삐를 죄려는 차원이다. 아울러 정부는 민간 차원의 장기모기지 상품 공급을 유도하기 위해 커버드본드 발행 여건·제도 개선 작업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보금자리론 10조 안팎 공급키로…금리 4.2~4.5% 금융위원회는 29일부터 종료되는 특례보금자리론을 대신해 30일부터 5조~15조원 규모로 보금자리론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공급 규모는 연간 10조원 수준이 기본 계획이지만, 시장 자금수요와 기타 정책자금 집행상황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특히, 보금자리론과 디딤돌, 신생아특례대출을 합친 전체 정책모기지 규모를 과거 10년 평균인 40조원 내외로 관리,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이번 보금자리론은 지원요건은 특례 이전의 보금자리론과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주택가격 6억원 이하가 대상이다. 다만, 신혼부부와 다자녀, 전세사기피해자 등에는 보다 완화된 요건을 적용한다. 신혼부부는 연소득 8천500만원 이하, 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8천만원∼1억원까지 소득요건이 완화되며 전세사기 피해자는 별도의 소득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금리는 특례보금자리론(우대형)에 비해 30bp 낮은 4.2~4.5%를 기본 적용한다. 취약부문에 대해서는 3%대 중반의 금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우대금리 혜택을 최대 100bp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보금자리론도 가계부채 관리 차원에서 공급규모를 일정범위 내 관리하더라도, 지원이 절실한 취약계층에 대해 충분한 지원과 혜택이 주어지도록 운영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적격대출, 민간 금융사가 직접 수행 정부는 민간 장기모기지 취급기반을 마련하는 데도 주력한다. 이는 보금자리론이 취약계층을 타깃으로 하는 만큼, 보금자리론 활용이 어려운 수요자들에 대해서는 민간금융 접근성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가장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적격대출을 민간 금융사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확대한다는 점이다. 정부는 은행 스스로 차주의 상환위험이 안정하게 관리되는 상품을 공급하도록 제도적 혜택만 부여하기로 했다. 향후 혼합형(고정금리기간 5년 초과)·주기형·순수 고정금리 대출 등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시 차주의 금리위험에 상응해 가산금리를 완화한다. 이에 더해 은행의 예보료·주신보 출연료율 산정시 변동금리 대비 낮은 출연료율도 적용하기로 했다. 또 주택금융공사의 정책여력을 민간 장기모기지 공급을 간접 지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금융 기능의 개편도 추진한다. 1분기 중엔 시중은행이 발해한 커버드본드에 주금공이 신용보강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2분기 중엔 '커버드본드 재유동화 기구'도 출범시킨다는 목표다. 아울러 금리 리스크 관리가 어려운 금융기관 등의 수요에 맞춰 이자율 스왑 등을 지원하는 스왑뱅크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커버드본드의 발행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마련에도 속도를 낸다. 현대 1%인 커버드본드의 예대율 인정한도를 현재보다 상향해 발행 유인을 제고하고,, 발행부담 완화를 위한 절차개선ㆍ인프라 확충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사들이 장기모기지 공급을 정책기관에 과도히 의존하는 관행을 개선하겠다"며 "스스로 차주의 상환위험을 고려해 상품을 적극적으로 공급하는 여건이 조성되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won  

1 80 81 82 83 84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