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Interstellar Group

CFD는 레버리지 특성으로 인해 빠른 손실 위험이 높은 복잡한 금융 거래 상품입니다.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는 CFD를 거래할 때 돈을 잃습니다. 사용자는 CFD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완전히 이해하고 재정적 손실의 높은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선 기자 =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이 상승했다. 해외브로커들은 2일 달러-원 1개월물이 지난밤 1,330.00원(MID)에 최종 호가됐다고 전했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2.15원)를 고려하면 전장 서울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331.50원) 대비 0.65원 오른 셈이다. 다만 간밤에는 달러가 약해지며 전일 뉴욕장 NDF 종가(1,333.50원) 대비로는 3.50원 반락했다. 매수 호가(BID)는 1,329.90원, 매도 호가(ASK)는 1,330.10원이었다. 미국 2월 제조업구매관리자 지수(PMI)와 미시간대 소비심리가 예상보다 둔화하며 달러가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 인덱스는 103.85선으로 내렸다. 미 국채 금리도 하락했다. 2년물 금리는 8.9bp 급락했다. 뉴욕증시는 상승했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2021년 11월에 기록한 장중 역대 최고치도 넘어섰다. 달러-엔 환율은 전장 서울환시 마감 무렵 150.410엔에서 150.130엔으로 내렸고, 유로-달러 환율은 1.08400달러를 나타냈다. 달러-위안(CNH) 환율은 7.2093위안을 기록했다. kslee2

22

2023-12

‘사법리스크’ 삼성전자, ESG지수 제외…고민 깊어진 연기금투자풀

(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사법리스크에 발목 잡힌 삼성전자가 공신력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지수 구성종목에서도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ESG지수를 추종하던 연기금투자풀 국내주식 펀드는 삼성전자 종목을 정리할지 추종 지수를 변경할지, 고민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한국거래소, ESG지수 구성종목서 '사법리스크' 삼성전자 제외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이달 '코스피200 ESG 지수' 구성 종목에서 삼성전자를 포함한 총 18개 종목을 제외했다. 코스피200 ESG 지수는 코스피200지수를 유니버스로 하고 우량 ESG종목을 선정해 코스피200지수와의 추적오차를 줄인 지수다. 전일 기준 코스피200 ESG지수 편입종목은 총 132개다. 한국거래소는 매년 12월마다 코스피200 ESG지수 구성 종목을 정기 변경한다. 한국ESG기준원이 가장 최근 평가한 ESG 부문별 점수 및 통합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코스피200 ESG지수는 ESG점수가 높은 순으로 총 130여종목을 선정하고 있어 등급보단 점수 영향을 받는다. 사회점수, 지배구조점수, 환경점수 중 두 개 부문의 순위가 상위 100위 이내이거나 어느 하나의 순위가 상위 50위 이내여야 최종 선정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오너 리스크'가 반영되면서 한국ESG기준원이 매긴 ESG점수가 하락했다. 그 결과 한국거래소 ESG지수에서도 탈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달 17일 최대 주주였던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합병하는 과정에서 합병 비율 왜곡과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장부 조작이 있었다는 혐의로 검찰에서 징역 5년과 벌금 5억원을 구형받았다. 내년 26일 1심 선고가 나올 예정이다. ESG등급으로만 따지면 한국ESG기준원은 올해 삼성전자 종합등급을 전년과 동일한 A로 정했다. 부문별 등급도 환경 A, 사회 A+, 지배구조 B+로 동일하다. 하지만 사법 리스크가 대두되면서 '사회책임' 부문 점수가 깎였다. 실제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ESG 관련 지수 가운데 사회책임 점수만 고려하는 'KRX ESG 사회적책임경영지수(S)' 구성 종목에서도 함께 제외됐다. ◇삼성전자 담은 연기금투자풀 '비상'…팔아야 하나 '고민' 문제는 ESG투자 시 코스피200 ESG 지수를 추종하고 있는 연기금투자풀이다. 코스피200 ESG 지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삼성전자가 제외되면서 연기금투자풀은 곤란해졌다. 코스피200 ESG 지수를 따라가자면 연기금투자풀은 지금까지 담고 있던 삼성전자 종목을 덜어내야만 한다. 삼성전자는 코스피200 ESG 지수 내 구성 종목에서 제외되기 전까지만 해도 지난달 말 기준 지수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비중이 29.33%로 가장 컸다. 2순위인 SK하이닉스보다도 지수시가총액이 3배 이상 크다. 연기금투자풀에 속해있는 60여개 기금은 기관평가에도 주요하게 반영되는 기금운용평가가 중요하다. 평가지표인 'ESG투자 노력도'에서 가점받기 위해 자산군별 투자 시 ESG를 고려하는 이유다. 하지만 코스피200 ESG 지수대로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운용수익률에 비상이 생길 수 있다. 삼성전자가 상장지수시각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21% 정도로 높아, 코스피200과의 괴리가 커질 우려도 있다. 연기금투자풀이 수많은 ESG지수 중에서도 코스피200 ESG 지수를 추종하는 건 코스피200과 가장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연기금투자풀이 포트폴리오에서 삼성전자를 덜어내기보단 벤치마크지수 자체를 코스피200으로 변경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는 이유다. 연기금투자풀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ESG 가점을 취해서 얻을 수 있는 기금평가 상 플러스(+)와 운용수익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금평가 상 플러스 가운데 어떤 게 더 클까 가늠할 것"이라며 "최근 분위기는 삼성전자를 빼고 가는 건 부담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hrsong  

22

2023-12

[재계 메기시대⑤] 삼성·LG 출신 안가린다…포스코 최정우의 ‘인재 모시기’

[※편집자주: 재계의 '메기 시대'입니다. 논어에서 시작된 메기론은 이제 국내 주요 기업들의 인재 철학이 됐습니다. 메기론의 골자는 논에 미꾸라지와 메기를 같이 둬야 미꾸라지가 더 튼튼해진다는 것입니다. 그런 메기 출신이 비단 실무진은 물론, 이제 최고 경영층 자리까지 오르고 있습니다. '순혈주의'를 깨고 적극적인 외부 인재 영입을 통해 기존 구성원들에게 긴장감을 더하겠다는 복안입니다. 연합인포맥스는 국내 주요 대기업의 외부 인재 영입 현황 및 배경 등을 정리하는 기사를 5꼭지로 정리해 송고합니다.] '2023년 포스코그룹 시무식'에서 신년사 하는 최정우 회장 [포스코홀딩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포스코그룹은 철강기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고 2차전지와 수소, 디지털전환(DX) 등 신사업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지주사 전환이라는 지배구조 대수술을 마무리한 포스코는 비철강·신사업 부문에 외부 전문가를 적극 영입하며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은 2차전지 소재와 수소 등 신성장 부문의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외부 핵심 인재 영입을 확대해 가고 있다. 지난 20일 발표된 '2024년도 정기 임원인사'에서도 삼성SDI, LG화학 출신의 인사를 대거 기용하며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나섰다. 대표적인 인물은 부사장으로 승진한 홍영준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2차전지 소재 연구소장이다. 홍영준 부사장은 서울대 공업화학과를 졸업한 뒤 LG화학에서 재료사업부문장, 기술기획담당 전무, 미래기술연구센터장 등을 지냈다. 지난 2021년 포스텍에서 열린 대학원 세미나에 연사로 참석하는 등 포스코그룹과 연을 이어온 그는 올해 1월 미래기술연구원 2차전지 소재 연구소장으로 영입된 후 1년만에 부사장으로 승진하게 됐다. 올해 새롭게 영입된 윤태일 포스코퓨처엠 기술품질전략실장(전무)과 김용헌 미래기술연구원 수소저탄소에너지연구소 연구위원도 모두 외부 인사다. 윤태일 전무는 삼성SDI 기획팀 기술전략 임원과 안전환경인프라팀장, 경영지원실 등을 거친 삼성맨이다. 김용헌 연구위원은 수소·저탄소 분야 전문가로 한국석유공사에서 연구개발 팀장, 기술전략 팀장 등 주요 직책을 맡아온 인물이다. 또한 지난 8월에는 미국 IT기업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을 거친 임우상 박사를 인공지능(AI)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영입하는 등 외부 전문가 영입을 늘려나가고 있다. 이 같은 외부 인재 채용은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의 '혁신' 의지가 그 바탕에 깔려 있다. 최 회장은 지난 2018년 취임 후 철강·비철강·신사업이라는 3각 체제를 구축하고 전문성 강화와 실행력 제고를 위해 외부 전문가를 적극 영입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미래 포스코를 책임질 신사업 조직에 순혈주의를 타파하고, 전문성을 보유한 인재를 중용한다는 것이 최 회장의 경영철학이다. 실제로 그는 취임 이후 신사업부문장에 오규석 전 대림산업 사장을 영입하는 파격 행보를 보였다. 오규석 신성장부문장은 LG텔레콤과 하나로텔레콤에서 마케팅, 전략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포스코로 옮기기 전에는 대림산업 경영지원본부장과 총괄사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더불어 포스코그룹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포스코경영연구원장에 산업연구원 출신의 장윤종 박사를 영입하기도 했다. 지난해 지주사 전환과 함께 AI와 2차전지 소재, 수소·저탄소에너지 등 분야의 연구·개발(R&D)을 총괄하는 미래기술연구원을 출범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그룹은 신성장부문 지위를 전통 주력사업인 철강부문과 동급으로 높인다고 공언한 바 있다"며 "그룹내 인적역량 재배치 및 혁신에 초점을 맞춘 외부 영입이 많아지면서 미래성장 사업 실행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wchoi2

22

2023-12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선임 막 올라…최정우 ‘3연임’ 여부 관심

현직 CEO '셀프 연임' 규정 삭제…최 회장 자사주 매입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막이 본격적으로 올랐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이사회가 열리기 전에 자사주 매입을 하면서 3연임 도전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19일 포스코센터에서 이사회를 열어 회장의 선임 절차를 포함한 새로운 지배구조 체제인 '포스코형 신지배구조 개선안'을 의결했다. 회장의 연임 우선 심사제를 없애면서 현직 최고경영자(CEO)의 '셀프 연임'을 못하도록 했다. 이에 신임 회장 후보군 발굴을 위한 '승계카운슬'도 자연스럽게 폐지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CEO후보 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가 회장 후보군 발굴 및 자격심사 기능을 수행한다. 그간 포스코그룹은 현직 CEO가 연임 의사를 밝히면 다른 후보자들에 앞서 심사한 뒤 적격성 여부를 판단해 연임이 결정됐다. 새로운 CEO 후보들이 현직 CEO와 시작부터 불리하게 경쟁해야 하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만든 것이다. 해당 규정이 없어지면서 현직 CEO도 연임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후보자들과 동등한 조건에서 심사받아야 한다. 후추위가 적임자를 선정해 최종 후보자 1명을 정기 주주총회에 CEO 후보로 추천한다. 특히 후추위에서 발굴한 회장 후보군에 대해 외부 저명인사로 구성된 회장후보인선자문단 제도를 도입한다. 후추위는 회장후보인선자문단의 평가의견을 회장 후보들의 자격심사에 반영한다. 앞서 포스코는 올해 3월부터 '선진 지배구조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미국, 유럽 선진기업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사외이사 간담회와 내부토론, 전문가 자문 과정 등을 거쳤다. 포스코홀딩스는 오는 21일 임시이사회를 개최해 CEO후보추천위원회 운영을 의결하고, 내년 3월 주주총회를 통해 선임할 회장 인선절차에 바로 착수할 계획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정우 회장의 3연임 도전 여부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 11일 두 차례에 걸쳐 포스코홀딩스 주식 700주를 3억710만에 장내 매수했다. 최 회장이 보유한 포스코홀딩스 주식은 3천338주에서 4천38주로 증가했다. 내년 3월 임기를 마치는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그룹 처음으로 연임을 무사히 마친 CEO라는 타이틀을 눈앞에 두고 있다. 3연임에 도전한다면 이것 역시 그룹 최초의 타이틀이다. 지난 2018년 7월 취임한 최 회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에도 포스코의 성장을 이끈 것으로 평가받으며 지난 2021년 3월 연임에 성공했다. 특히 최 회장은 지난해 3월 포스코그룹이 창립 54년 만에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진두지휘하며 기업 가치를 높였다. 포스코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020년 2조4천30억원에서 2021년 9조2천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지만, 포항제철소 침수 피해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4조9천억원을 나타냈다. 포스코그룹의 시가총액도 지주사를 출범한 시기 약 37조원에서 현재 90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최 회장이 연임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내년 3월 예정된 주주총회 90일 전까지 이사회에 통보해야 하는 만큼 조만간 거취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 회장 외에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후보로는 내부에서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사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그룹 외부에서는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이 거론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출범(서울=연합뉴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2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포스코홀딩스 출범식에서 사기(社旗)를 흔들고 있다. 2022.3.2 [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 yglee2

22

2023-12

[연임 완주 앞둔 최정우호-④] 포스코그룹 시가총액 5위 시대

(서울=연합인포맥스) 장순환 기자 = 전통 철강사에서 배터리 소재 등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으로 변화 중인 포스코그룹의 시가총액이 국내 그룹사 중 5위까지 높아졌다. 최정우 회장의 지주사 전환 결정과 2차전지를 중심으로 한 미래소재 기업 변화는 포스코 그룹주의 동반성장을 이끌었다. 14일 연합인포맥스 그룹사 시총 추이(화면번호 3197)에 따르면 전일 기준 포스코그룹의 총 시가총액은 96조9천52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2일까지 100조원을 넘어섰지만, 최근 2차전지 관련주 동반 하락에 100조원 아래로 내려왔다. 다만, 시가총액 순위에서는 삼성과 LG, SK, 현대자동차에 이어 그룹 순위 5위에 올라있다. 포스코그룹의 시총은 우리나라 전체 시총의 4.8%를 차지한다. 포스코그룹은 친환경 중심 사업 체질개선, 지주사 체제 전환 등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속하면서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졌다. 포스코그룹의 시가총액은 지주사를 출범한 지난해 3월 당시 37조6천억원 수준에서 150% 넘게 급증했다. 포스코그룹 상장사는 포스코홀딩스를 포함해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엠텍,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ICT 등 6개 계열사가 포함된다. 포스코그룹의 시총은 지난 7월 21일에 2차전지 주도주로 주가가 급등하며 1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 7월 25일에는 그룹 시총이 122조4천24억원까지 늘어나며 최고점을 찍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3월 지주사 체제 전환을 기점으로 친환경 중심의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Agri-Bio)의 7대 핵심사업으로 그룹 사업을 재편했다. 이차전지소재산업에서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와 호주 광석 리튬 광산 지분인수를 기반으로 리튬·니켈, 양·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및 원료 생산능력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이에 그룹 내 친환경 미래소재 사업을 선도하는 포스코퓨처엠의 시가 총액은 5년만에 2조9천억원에서 29조9천억원으로 10배 급증했으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조3천억원에서 5배 성장한 12조9천억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 시가총액은 28조7천억원에서 44조7천억원으로 늘었다. 포스코홀딩스는 더 이상 전통적인 철강회사가 아니라 이차전지 소재(리튬,니켈) 및 수소사업(수소환원제철,해외수소조달) 등 신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탈바꿈하고 있다. 증권가에선 국내외 리튬과 니켈 생산 공장의 상업화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이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중이라고 평가한다. 다만, 포스코그룹의 시가총액이 100조 시대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최근 들어 2차전지 관련주인 포스코 계열 주가는 급락세를 타고 있다. 포스코DX는 전 거래일에 전일 대비 11.17% 급락했고 포스코홀딩스 역시 전일 대비 3.11% 하락했다. 최근 2차 전지 업종은 실적 대비 고평가 논란과 함께 중국업체와의 경쟁에 따른 부담 등으로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리튬가격 하락과 전기차 수요 위축에 따른 성장 둔화 가능성이 주가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지만, 장기적 성장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한 증시 전문가는 "2차전지 관련 주식의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 변동 폭이 커졌지만, 성장성이 지속되는 만큼 주가 조정 이후에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 본사[촬영 손대성]  shjang

22

2023-12

파생결합증권 9월말 6.8조원 녹인 발생…대부분 홍콩H지수 ELS

[금융감독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인포맥스) 온다예 기자 = 지난 9월 말 기준 녹인(knock-in·손실 발생 구간)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이 6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녹인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6조8천억원으로, 전체 파생결합증권 94조원 중 7.2%를 차지했다. 대부분 지난해 홍콩H지수 급락에 따라 H지수 편입 주가연계증권(ELS)에서 발생한 녹인(6조2천억원)으로, 이 중 87.8%(5조9천억원)가 내년 상반기 만기를 앞두고 있다. 금감원은 내년 상반기 만기 도래에 따라 향후 H지수 추이 및 투자자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최근 꾸준히 발행량이 증가하고 있는 닛케이225 편입 ELS와 관련해서도 향후 변동성 확대 시 투자자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올해 3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3조2천억원, 상환액은 15조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각각 3조1천억원씩 감소했다. 미국 국채금리 불안 등 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이며 투자수요가 위축된 영향이 컸다. 3분기 말 잔액은 직전 분기 말보다 2조3천억원 줄어든 94조원으로 지난해 말(102조2천억원)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파생결합증권 가운데 ELS 발행액은 9조9천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2조3천억원 감소했다. 기초자산별로는 최근 일본 증시 상승세를 반영해 닛케이225 편입 ELS 발행액이 크게 증가했다. 닛케이225 편입 ELS 발행액은 1분기 1조8천억원, 2분기 2조4천억원, 3분기 3조2천억원으로 꾸준히 늘어 코스피200 편입 발행액(3조1천억원)을 추월했다. H지수 편입 발행 규모는 1조4천억원으로, 중국 경기둔화 우려로 투자 수요가 위축되며 직전 분기(2조원) 대비 33.8% 감소했다. 녹인형 ELS 발행액은 2조9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2천억원 감소했다. ELS 상환액은 직전 분기보다 1조5천억원 감소한 11조6천억원으로 나타났다. 3분기 DLS 발행액은 3조2천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9천억원 줄었다. 주요 기초자산인 금리 불확실성 증대 등에 따라 투자수요가 위축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DLS 상환액은 3조4천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1조6천억원 감소했다. dyon

22

2023-12

美 3분기 GDP 확정치 4.9%↑…예상치 하회(상보)

(뉴욕=연합인포맥스) 윤영숙 특파원 = 올해 3분기(7~9월)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4.9%로 최종 집계됐다. 분기별 미국 실질 GDP 성장률 [미국 상무부 홈페이지]   미국 상무부는 21일(현지시각) 계절 조정 기준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연율 4.9% 증가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5.1% 증가를 밑도는 수치로 직전에 발표된 GDP 잠정치인 5.2% 증가도 밑돈다. 이번 수치는 처음 발표된 속보치와 같다. 미국은 GDP를 속보치와 잠정치, 확정치로 세 번에 걸쳐 발표한다. 3분기 GDP 성장률은 2021년 4분기 기록한 7.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 2분기 성장률인 2.1%의 두 배를 넘는다. 3분기 미국의 개인소비지출은 전분기 대비 3.1% 증가해 잠정치인 3.6% 증가에서 하향 조정됐다. 소비는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변수다. 3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2.6% 올라 잠정치인 2.8%에서 하향 조정됐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2.0% 올라 잠정치인 2.3%에서 수정됐다. ysyoon